Chapter 1: Introduction to the Economics of Token
Engineering1.1. Layer 1 vs DApps Protocols
In blockchain and technology systems we can divide the entire system into three layers, Layer 1, Layer 2 and Application Layer. The language that these systems run is called protocols.
블록체인의 레이어를 영어에 빗대어 이야기 한다.
레이어1은 영어다.
영어를 쓰는 국가들은 다양하다.
영어는 그 국가들이 소통하고 거래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 국가 별로 영어 사용법이 다른데 그게 레이어2다.
레이어2는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That could be Singapore with Singlish, Jamaica with Jamaican English, Scotland with Scottish English, Ireland with Irish English.
레이어 2에는 singlish, jamaican english, scottish english, irish english 와 같은 다양한 생태계가 있고, 이는 기본적으로 영어를 바탕으로 하지만 각각이 다른 특색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통을 하기위해서는 번역기나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Spain and chile trading with each other, sending wine, cheese and grains.
디앱 레이어(Application layer)에서는 실제 영어를 사용하여 대화나 교류를 하는 것을 말한다.
Specifically, in this book, we will dive into DApp protocols, the math and economics of them.
Instead, we will focus on the mathematical models required to develop the various incentive mechanisms and other economic considerations that impact users’ behaviours in a closed looped ecosystem.
이 책은 세 단계의 레이어 중 DApp 프로토콜과 수학적 경제적인 부분에 집중한다고 한다.
(비잔틴문제,시빌 공격, 게임이론과 같은 Layer1에서의 문제들 대신에 closed looped ecosystem에서 사용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센티브 매커니즘이나 경제적인 사항을 개발하는데 필요로 하는 수학적 모델에 집중한다고 한다.)
1.2. Economics in Three Words
Economics is split into two primary domains: macroeconomics and microeconomics.
But at its core, economics is three simple things:
- Incentives
- Punishments (Disincentives)
- Behaviours
No matter how much the Keynesian school of thought and Austrian school of thought argue, economics boils down to what incentives drive the desired behaviour of the economy.
경제학이 어쩌구 저쩌구 하지만 핵심은 인센티브,처벌, 행동에 있다.
인센티브나 처벌을 통해 원하는 행동(결과)을 이끌어내는 것.
1.2.1.Token Economy
Similarly, we can take the same principles and apply them in the token economy.
이는 토큰 이코노미로도 적용될 수 있다.
1.2.1.1.Open-Loop vs Closed-Loop
The physical traditional world is an open-loop system.
전통적인 물리적 세계는 오픈루프 시스템이다.
어떤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수용할 능력이 없고, policy maker가 원하는 결과를 위해 상태를 설계할 수 있는 제한된 수준의 권한을 부여합니다.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decentralised world consists of closed-loop systems which can be defined dynamically through state feedback.
1.2.1.2.Primary Function of a Token
The primary function of a token is to capture the economic value accrued from within the ecosystem.
The primary function of a token is not to gain value on the secondary market. i.e. to exist on exchanges to trade.
토큰의 주요한 기능은 거래소가 아닌 에코시스템에서 발생한 가치를 포착하는 것이고, 가치에 대한 가격은 거래소에서 확인 할 수 있다.
Thus, the economics structure and design consideration of the token becomes a key criteria in achieving success.
토큰은 핵심적인 목적은 에코시스템의 목표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토큰 이코노미의 구조와 설계는 에코시스템의 성공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적 요소이다.
이 책이 창출된 가치를 토큰화하는 것에 대한 책이기에 얘기하는 것이지, 모든 에코시스템이 토큰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그 토큰이 꼭 거래소에서 거래될 필요도 없다.
1.2.1.3. Practical reasons to create a token
- Tokens represent a specific financial strategy. You tokenise this strategy so represent the value accrued.
- Tokens represent an underlying asset. You tokenise the underlying asset so this digital asset can now interact with a new technological stack.
- Tokens help with accounting purposes. You tokenise a medium of exchange that rebalances every day and updates the account of users proportionally.
- Tokens help with distribution purposes. You can distribute assets (profits earned, dividends, yield accrued) easily.
- Tokens align incentives of various participants. Money could do that, but there are too many diverse participants. Hence, an ecosystem specific token can achieve the incentive alignment with various mechanisms.
1.3. 10 FAQ About Economics of Token Engineering
1. What has market design and its variables got to do with the Economics Design framework?
framework는 생태계의 경제를 디자인 할 때 다양성을 고려한 것이다.
- 마켓디자인은 유저의 에코시스템이 만든 환경내에서 토큰과 정보, 데이터의 교환을 보증한다.
- 매카니즘적 디자인은 이러한 마켓에 참여하기 위한 규칙이다.(거버넌스나 비 경제적 보상, 이러한 규칙을 업데이트하는 다른 스트럭쳐를 포함해서)
- 토큰 디자인은 스마트 컨트랙트로 결정된 토큰 자체의 규칙이다. 규칙은 시스템이 성장하거나 새로운 형태의 트랜잭션을 통합하면서 바뀔 수 있다
2. What are the various token functions?
토큰은 가치를 표현한다. 토큰은 하위카테고리가 많은데 NFT와 fungibleTocken이 있다.
분류하는 다른 방법은 그들의 기능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토큰의 4가지 주요한 기능 - 보안, 유틸리티, 돈, 스테이블 토큰
특정 토큰의 기능을 결정할 수 있는 많은 방법들이 있다, 특히 합법적 관점으로, 그리고 토큰이 할 수 있고 없는 것을 특정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 표가 특정화하는 것에 대한 것은 아니다. 이 표는 토큰이 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기능들에 대한 것이다.
기록 : NFT와 이러한 것들을 대표할 수 있는 것과 같은 것들이 다른 기능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5달러가 어디에서나 같지만 오바마가 사인한 5달러는 다른것과 다른 것처럼.(fungible—>non fungible)
3.What’s the difference: Consensus, Allocation, Resolution?
4.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Valuation and Token Pricing?
5. Where does “liquidity mining” or “yield farming” fit in the economics design framework?
6. Where does “game theory” fit into the Economics Design framework?
7. What monetary policy should I use when I design my token ecosystem?
8. Is the MV=PQ mode good enough to define my token’s valuation?
9.What are some underlying economic concepts that are fundamental to token economics?
10.Why is governance so important in token economics?
'블록체인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학 | 마스터링 이더리움 (0) | 2021.05.10 |
---|---|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 마스터링 이더리움 (0) | 2021.04.24 |
이더리움 기초 | 마스터링 이더리움 (0) | 2021.04.16 |
Evolution of Economics | Economics and Math of Token Engineering and DeFi - Fundamentals of Token Economics (0) | 2021.04.16 |
이더리움이란 무엇인가? | 마스터링 이더리움 (1) | 2021.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