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2: Evolution of Economics
2.1. What is Economics: An Evolution
Economics is a science. It primarily examines how decisions are made and which alternatives provide the greatest benefits to various stakeholders. It has always been, and continues to be, about the study of allocation of scarce resources (behaviours). One of the key differences in token economics is to create rules around the allocation of scare resources to affect people’s behaviours. We can enforce these rules through incentives and disincentives (punishments).
앞서 했던 얘기의 반복인데, 토큰 이코노미는 사람들(behaviours)에게서 원하는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이다. 그러한 토큰을 남발하면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적당한 양을 발행해야 하는데(scarce resource), 그 적당한 양 안에서 토큰을 어떻게 분배할지를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2.2. Economic Resources
The four traditional economic resources are land, labour, capital, entrepreneurship. These are traditional tangible resources. In today’s digital economic world, a new resource has come into the picture: information (intangible resource).
전통적 경제적 자원은 토지, 노동, 자본, 기업가 정신이지만, 디지털 경제 세계에서의 새로운 자원은 정보의 형태로 나타난다.
2.2.1 New Resource: Information (aka Intangible Assets)
다양한 new resource를 도표를 통해서 보여준다.(ex software,Machinelearing,databese development)
2.2.2. Evolution in Markets
2.2.2.1 Classic Economic Market
In the classic economic market, we model based on demand and supply to understand how the market behaves. Classical demand and supply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전통적인 마켓에서는 수요와 공급의 모델에 기반해서 시장의 움직임을 이해했다. 수요와 공급은 비교적 독립적인 변수들이다.
2.2.2.2. Information Markets
In information markets, things are slightly different.
For this reason, we have to use other ways to signal and understand how markets behave.
Let’s say a new movie exclusive to Netflix2 is now available for viewing. This demand exists because there is a supply (the movie) available. Netflix is now an aggregator to match the various demands of users by supplying a variety of movies.
정보 마켓에서는 그것들이 조금 다르기 때문에 다른 방법으로 그것들을 이해해야한다.
정보마켓에서는 공급이 있기에 수요가 있다. 넷플릭스라는 플랫폼이 있기에 넷플릭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생긴다.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얘기를 하는 것 같다)
2.2.2.2.1.Information as a Public Good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classical physical goods in a few aspects. Information can be consumed by two or more people at the same time and they are nonrivals in consumption. This means that there is almost no opportunity cost when it comes to consumption.
With that, it becomes difficult to estimate demand for information goods. Hence, we estimate them with data or use proxies to estimate them.
물리적인 물건들과 정보는 다른데, 정보는 동시에 소비 할 수 있음이 다르다. 이는 소비에 대해서 기회비용이 없다는 뜻이다.
또한 동시에 정보를 소비할 수 있으니, 수요를 측정 할 수 없게 된다.
물건들은 소비되는 것이 눈에 보이지만 정보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프록시와 같은 데이터로 수요를 측정한다.
2.2.3. Differences between Tangible Resources and Web3.0 Intangible Resources
표를 통해 유형과 무형 자산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2.2.3.1. Characteristics of Resources
2.3. Economics and Technological Evolution
2.3.1. Past: Traditional Economics3
2.3.2. Present: Information Economics
2.3.3. Future: Decentralised Digital Economics
2.4. Summary Table
'블록체인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학 | 마스터링 이더리움 (0) | 2021.05.10 |
---|---|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 마스터링 이더리움 (0) | 2021.04.24 |
이더리움 기초 | 마스터링 이더리움 (0) | 2021.04.16 |
이더리움이란 무엇인가? | 마스터링 이더리움 (1) | 2021.04.16 |
Introduction to the Economics of Token | Economics and Math of Token Engineering and DeFi - Fundamentals of Token Economics (0) | 2021.04.12 |